충북 단양 죽령 옛길, 역사와 자연이 어우러진 산책로

Last Updated :
충북 단양 죽령 옛길, 역사와 자연이 어우러진 산책로

충북 단양 죽령 옛길, 역사와 자연이 어우러진 산책로

영남에서 한양으로 향하는 길은 과거 세 갈래로 나뉘어 있었습니다. 현대처럼 도로가 잘 정비된 지금과 달리, 옛날에는 목이 되는 고개를 넘어야만 했습니다. 그 중 충북 지역을 통과하는 길은 추풍령, 조령, 그리고 죽령이 대표적입니다. 이번에는 그중에서도 단양과 영주를 잇는 죽령 옛길을 살펴봅니다.

죽령 옛길은 단양과 영주를 연결하는 중요한 통로였으며, 이 길을 따라 단양향교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단양향교는 옛길을 지나던 이들이 머물렀던 곳으로, 7칸 반 규모의 대성전을 중심으로 서무, 명륜당, 동무, 신문, 진덕재, 수업재, 풍화루, 제기고 등 다양한 건축물이 현존하고 있습니다.

단양향교에서 국도를 따라 약 10km를 오르면 죽령 고개에 도달합니다. 죽령은 영주시 풍기읍과 단양군 대강면의 경계에 위치하며, 소백산 국립공원 내에 있어 자연의 아름다움이 돋보이는 곳입니다. 이곳은 대한민국 국유림 100대 명품숲 중 하나로, 방문객들은 산세의 웅장함과 청정한 공기를 만끽할 수 있습니다.

죽령휴게소에서는 단양의 농특산물을 구매할 수 있으며, 식사와 휴식도 가능합니다. 단양에는 소박한 사자락길이 조성되어 있는데, 제3코스인 죽령 옛길은 죽령휴게소에서 당동리까지 이어집니다. 또한 제4코스 가리점 마을 옛길은 당동리에서 기촌리까지 다양한 마을을 연결하는 길입니다.

여름철에는 더욱 생동감 넘치는 풍경을 자랑하는 죽령은 제5코스 황금구낭만길, 제6코스 온달평강 로맨스길, 제7코스 십승지 의풍옛길과도 연결되어 있습니다. 특히 김삿갓묘까지 걸어볼 수 있는 이 길들은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죽령 옛길의 이름은 신라 아달라 이사금 시절 죽죽이라는 인물이 길을 닦았다는 전설에서 유래했습니다. 고구려 장수왕 때는 죽령이 고구려 남쪽과 신라 북쪽의 국경선 역할을 했으며, 진흥왕 때 신라가 이 지역을 차지하면서 죽령 입구에 성을 쌓고 비석을 세웠습니다. 이 비석은 단양 신라 적성비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 지역은 온달 장군과 평강공주의 설화가 전해지는 곳이기도 합니다. 온달 장군은 죽령 이북 땅을 찾기 위해 이곳을 지나갔으며, 이 부근에서 생을 마감했다고 전해집니다. 죽령 옛 고개 명품마을은 2021년 국립공원 명품마을로 선정되었으며, 해발 700m 소백산 자락에 위치해 자연과 공존하는 삶을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과거 중요한 교통로였던 죽령 옛길은 20세기 초반까지도 서울로 향하는 주요 길이었습니다. 길을 따라 흐르는 계곡과 울창한 수목 터널은 소백산의 아름다움을 한껏 느끼게 해줍니다. 2,0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수많은 이들이 이 길을 오가며 기쁨과 슬픔을 함께 나누었습니다.

죽령 옛길은 명승지로 지정되어 있으며, 고개를 넘으면 경상북도 영주시가 나타납니다. 전해지는 이야기 중에는 어느 도승이 짚고 가던 대지팡이가 살아나 죽령이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설화도 있습니다. 현대에 들어 건설된 5번 국도(죽령로)는 차량 통행이 적어 한적하지만, 이곳에서 잠시 머무르면 소백산과 죽령 옛길의 매력을 깊이 느낄 수 있습니다.

충북 단양 죽령 옛길, 역사와 자연이 어우러진 산책로
충북 단양 죽령 옛길, 역사와 자연이 어우러진 산책로
충북 단양 죽령 옛길, 역사와 자연이 어우러진 산책로 | 충북진 : https://chungbukzine.com/4101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충북진 © chungbuk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