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6만 명 암환자 데이터…안전하고 혁신적인 가명처리!
암환자 빅데이터 개방
안전하게 가명처리된 226만 명 암환자 빅데이터가 연구자에게 개방되며, 이로 인해 암 치료제 개발 연구가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보건복지부, 국립암센터, 한국보건의료정보원에서는 K-CURE 암 공공 라이브러리를 개선하여 데이터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K-CURE는 우리나라 암환자의 등록, 검진, 의료 이용 및 사망 데이터를 안전하게 가명 처리하여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이를 통해 암 연구자들은 보다 많은 정보를 활용하여 치료제 개발 및 효율적인 연구 목표 달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K-CURE 암 공공 라이브러리의 역할
K-CURE 암 공공 라이브러리는 공공기관이 보유한 암환자 정보를 연구자에게 제공합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암 등록자료, 건강보험 자격 및 검진 정보, 의료 이용 청구정보 및 사망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안전하게 가명 처리되어 개인 데이터가 보호됩니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이 데이터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연구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는 K-CURE 포털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여기서 필요한 데이터 신청 후 심의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게 됩니다.
- 226만 개의 암환자 데이터 개방
- 개인정보 보호를 철저히 준수
- K-CURE 포털을 통한 데이터 신청 시스템
- 암 치료 연구의 발전 기대
- 다양한 데이터 출처 및 종류
암 데이터의 확대
암 등록 자료 | 건강보험 자격 및 검진 정보 | 의료 이용 청구정보 |
사망 정보 | 코로나19 관련 정보 | 데이터 규모 확대 |
2012-2020년 데이터 | 개인 식별 정보 없슴 | 연구자와 협업 필요 |
다양한 연구 가능성 | 질병 예방 연구 | 효과적인 연구 방법 |
앞으로 K-CURE 암 공공 라이브러리는 더 다양한 데이터를 연구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계획입니다. 연구자들은 안전한 분석 공간인 안심 활용 센터에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고형우 첨단의료지원관은 “K-CURE 암 공공 라이브러리 개선으로 보다 양질의 암 빅데이터를 연구에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고 강조하며, 보건의료 분야 데이터 기반의 연구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전했습니다. 이는 암 치료제 개발 연구 등에 매우 중요한 촉매제가 될 것입니다.
K-CURE 포털과 데이터 활용
연구자들은 K-CURE 포털을 통해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신청할 수 있다. 신청된 데이터는 연구 필요성과 가명처리의 적절성을 기반으로 심의를 거치며, 심의를 통과한 데이터는 안전한 공간에서 분석할 수 있도록 제공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개인정보는 철저하게 보호되며 연구에 활용된다. 연구자들은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더욱 효과적이고 정교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암 환자들의 치료 방법 개선에도 기여하게 될 것입니다.
문의 및 정책 안내
보건복지부 첨단의료지원관에서 데이터 활용에 대한 문의가 가능합니다. 문의처는 보건의료데이터진흥과(044-202-2949)으로, 모든 연구자들은 이에 대한 문의를 통해 보다 간편하게 데이터를 요청하고,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책브리핑의 정책뉴스자료는 지정된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에는 저작권법에 따른 처벌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