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신약’ 후보물질 5000억 원 기술수출 계약 성사!
먹는 치매 신약 후보물질의 기술수출 성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먹는 치매 신약 후보물질이 최근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하여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 계약은 정부 출연 연구기관의 기술 수출 사례 중 역대 최대 금액인 3억 7000만 달러에 달하며, 이는 한화로 약 5037억 원에 해당합니다. 이번 기술 수출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연구개발에서 창업, 상용화, 임상으로 이어지는 바이오 기술 사업화 전 주기 지원 전략의 성과로 해석됩니다. 특히 이 기술은 지난달 임상 1상에 착수한 CV-01로, 신약 상용화에 성공할 경우 세계 최초의 차세대 기전의 근원적 치매 치료제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술이전 및 계약체결 배경
이번 기술이전 계약은 KIST의 창업기업인 큐어버스와 이탈리아 제약사 안젤리니파마 간의 협의로 이루어졌습니다. 큐어버스가 치매 신약 후보물질을 기술 수출하게 됨으로써, KIST가 개발한 기술이 글로벌 시장에서도 인정받는 사례로 부각되었습니다. 황판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이 계약을 통해 KIST 출자 기업의 바이오 해외 기술이전 성과를 공식적으로 발표하였습니다. 이 기술이 성공적으로 상용화된다면, 이는 정부 출연 연구기관의 기술 수출 역사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 KIST와 큐어버스의 협업이 결실을 맺고 있습니다.
- 신약 후보물질 CV-01의 개발이 주요 주목 대상입니다.
- 치매 치료에 대한 중요한 기술적 발전이 이루어졌습니다.
CV-01 신약의 잠재력
CV-01은 신경염증 반응을 억제하여 뇌 신경회로 손상을 방지하는 새로운 기전의 치료제입니다. KIST 박기덕 박사 등 연구진은 지난 2014년부터 연구를 시작하여, 기존의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제거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을 지속해왔습니다. CV-01이 신약 상용화에 성공할 경우, 이 기전은 세계 최초가 되어 큰 의의를 가지게 될 것입니다. 이 신약은 치매 뿐만 아니라 파킨슨병, 뇌전증 등의 다른 뇌 신경계 질환에도 응용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신약 후보 물질의 특장점
CV-01의 가장 큰 장점은 주사제가 아닌 경구용 약물이라는 점입니다. 많은 치매 치료제가 주사제로 개발되고 있는 반면, CV-01은 쉽게 복용할 수 있는 형태로 개발되었습니다. 이는 환자들이 자가에서 손쉽게 주기적으로 복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치료의 편의성을 높입니다. 또한, 질병의 원인 물질에만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기존 치료제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KIST의 연구 및 지원
지원 프로그램 | 지원 기간 | 지원 금액 |
미래선도형 융합연구단 | 2016~2021 | 43억 5000만 원 |
바이오스타 사업 | 2021~2024 | 10억 5000만 원 |
연구소기업 지원 | 2021~2024 | 3억 원 |
이와 같은 정부 지원은 KIST가 기술 개발과 상용화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기초가 되었습니다. 연구개발 및 임상 과정까지 전 주기적으로 지원이 이루어진 결과, KIST는 훌륭한 공공연구 성과를 산업 분야에 성공적으로 확산할 가능성을 증명하였습니다. 이러한 진전을 통해, KIST는 국내외 제약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미래의 기대와 결론
이번 기술이전 계약과 CV-01의 개발은 치매 치료 분야에서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할 것입니다. 연구자들은 치매, 파킨슨병, 뇌전증 등과 같은 다양한 뇌신경계 질환에 대해 새로운 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맞고 있습니다. 조성진 큐어버스 대표는 CV-01이 뇌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에게 희소식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의 임상시험과 상용화 과정에서 큰 기대감을 나타냈습니다. KIST와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이 이러한 기대를 현실로 만들어 줄 것이며, 이는 고령화 사회에서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질병 관리에 효과적인 혁신적 솔루션을 제공할 것입니다.
성과의 의미
이번 성과는 KIST가 개발한 기술이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과기정통부는 출연연과 대학의 우수한 연구성과를 바이오 기업에 연결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을 중점적으로 추진하며, 앞으로도 국산 블록버스터 신약 개발을 위한 기술 사업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입니다. 이는 대한민국의 바이오 산업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